-애드센스 -서치콘솔 Thing-story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 Page)

장애인 분야별 복지 서비스 혜택 13가지

반응형

우선 건강을 위한 경증과 중증 장애인 등급마다

다른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있기에 참고해서

지원내용을 확인하고 신청해보자.

경증 중증 장애인 모두 해당하는 서비스와

경증과 중증 장애인별로 다른 서비스도 알아보자.

1.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

신체, 가사, 사회 활동 지원

방문목욕, 방문간호 제공을 하는 서비스로

만 6세 이상 만 65세 미만 등록 장애인 중

활동 지원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를 받은

장애인이 대상자이다.

https://www.ableservice.or.kr:8443/

 

장애인이 행복한 나라 따뜻한 대한민국

 

www.ableservice.or.kr:8443

2. 건강보험료 할인

건강보험 가입자인 등록 장애인의

건강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서비스다.

많은 차이는 없지만 혹시 받지 않고 있다면

확인해 보는게 좋겠다.

3. 발달 재활 서비스

언어, 미술, 음악, 운동 등의

발달 재활 서비스가 있다.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전국 가구 평균

소득 180% 이하를 대상으로 시행하니 참고하자.

4. 심리 상담 서비스

발달장애인 부모 심리 상담 서비스 및

가족 휴식을 지원하는데

전국 가구 평균 소득 150% 이하가 대상이다.

5. 이동에 관한 서비스

중증 장애인분들이 해당하는 서비스로

국내선 항공료, 연안 여객선이 50% 할인 된다고 한다.

다음은 경증 중증 장애인분들이

모두 해당되는 서비스로 공영주차장 도시철도 등

할인 또는 무료 서비스가 지원된다고 한다.

6. 빠른 정보를 위한 서비스

경증 중증 장애인분들이 모두 해당하며

tv 수신료 면제, 이동통신 요금 할인, 유선통신 요금 할인,

인터넷 요금은 30에서 40% 할인이 된다고 한다.

7. 다양한 문화생활을 서비스

고궁, 국공립박물관, 공원 무료입장, 국공립 공연장,

공공체육시설 할인, 영화관, 롯데월드, 에버랜드 등

우대가 적용이 된다고 하니

참고해서 할인받아 즐기자.

https://thing-story.tistory.com/entry/2023-%EC%A0%95%EB%B6%80%EC%97%90%EC%84%9C-%EC%A7%80%EC%9B%90%ED%95%98%EB%8A%94-%EC%9E%A5%EC%95%A0%EC%9D%B8-%ED%98%9C%ED%83%9D-12%EA%B0%80%EC%A7%80

 

2023 정부에서 지원하는 장애인 혜택 12가지!!

정부에서 지원하는 장애인을 위한 공공요금 감면 혜택 11가지! 다양한 혜택이 있는데도 정보가 없어서 요금 감면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 공공요금 감면 혜택까지 모두 정리해보자. 그리고

thing-story.tistory.com

8. 보육 관련 서비스

우선 중증 장애인 분들이 해당되는 서비스이다.

어린이집 우선 입소 지원으로

부모 또는 형제가 중증 장애인일 경우 대상이 된다.

9. 장애와 가족 양육비 지원서비스

한 가정당 연 720시간 지원받을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10. 경증 중증 장애인 모두 해당하는 서비스

 a.여성 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한명당 100만 원을 지원.

 b. 두 번째 양육 수당.

 - 36개월 미만의 경우 20만원 36에서 86개월 미만 10만원 지원.

 c. 장애와 보육료 지원.

 - 장애아반 편성 아동은 47만 8천원

 - 만3~5세 누리반은 47만 8천원

 - 일반 아동반 편성 장애 아동은 시도별로 다르니 확인이 필요하다.

 -연장형 보육료 등 지원.

  야간 연장 등 서비스별 지원이 상의하기에 확인해 봐야겠다.

11. 안정적인 근로 서비스.

우선 중증장애인의 경우

중증 장애인 직업재활을 지원하고

훈련 준비금 등 중증 장애인 지원 고용 훈련 수당도 지원된다.

그리고 경증 중증 장애인 모두 해당하는 것으로

직업능력 개발 훈련은 장애인 고용장려금,

장애인 창업, 점포 지원 직장 내 보조공학기기 지원,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인 창업 육성 등이 지원된다.

12. 기타 요금 감면 및 서비스

우선 경증 장애인의 경우 장애 수당이 있을 것이며

중증 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인 연금

전기요금 도시가스 요금 지역 난방비 요금 감면이 있다.

13. 노인 장기요양보험료 병담 등 지원

경증 중증 장애인 모두 해당하는 지원으로는

의료비 공제, 소득세, 인적공제,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공동주택 분양 알선, 장애아동 수당,

특수교육비 소득공제, 여성장애인 교육 지원,

장애진단서 발급 비용 및 검사비 지원이 있다.

 

13가지 분야별로 지원 서비스에 대해 알아봤다.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활용해서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알고자 하시거나 신청방법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면 되겠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tbu/app/main/Main

 

www.bokjiro.go.kr

복지로 홈페이지에 또다른 복지서비스들이 많으니

확인한 후 신청해서 서비스 받도록 하자.
https://thing-story.tistory.com/entry/2023%EB%85%84-%EC%B2%AD%EB%85%84-%EB%82%B4%EC%9D%BC%EC%A0%80%EC%B6%95%EA%B3%84%EC%A2%8C-%EC%8B%A0%EC%B2%AD-%EB%B0%8F-%EC%A7%80%EC%9B%90%EB%82%B4%EC%9A%A9

 

2023년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청 및 지원내용

2023년을 맞아 정부는 청년 복지정책 예산을 확대하여 청년들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여러가지 방안을 내세워 추진 중이다. 그중에 오늘은 청년 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이

thing-story.tistory.com

 

반응형

댓글()

디딤돌 vs 특례보금자리론 중복 가능할까?

반응형

많은 분들이 내 집마련의 꿈을 안고

조금 더 나은 보장혜택으로 가능한

서비스를 알아보기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런 분들을 위해 2023년

새로 개정된 디딤돌 대출과

2023 한시적으로 1년간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 비교해

드리면 도움될것 같아 가지고 왔다.

디딤돌 vs 특례보금자리론

우선 두 가지 모두 목적이나 

조건에 맞는지부터 차근히 살펴봐야한다.

 

1.대출 목적 – 주택구입 목적

2.소득 - 부부합산 6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신혼, 다자녀, 2자녀가구 7천만원)

3.주택 보유수– 세대주 포함한 세대원 전원 무주택

4.주택 면적 - 주거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 주택

(수도권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은 100제곱미터)

5.주택 가격 - 주택평가액 5억원 이하

(신혼가구는 6억원 이하)

위 다섯 가지 모두 충족되어야

기본적인 디딤돌 대출 대상이 된다.

(대출신청인 및 배우자의 합산

순자산 가액이 5.06억원 이하)

반면 특례보금자리론은 기본적인 조건이야

있겠지만 누구나 가능하다.

그럼 핵심 포인트를 비교해보자!!

1. 소득제한 비교

부부 합산 연소득 6천만원 VS 제한없음

2. 중도상환 수수료 

3년 이내 상환시

1.2% 한도내에서 부과 VS 양방향 모두 없음

3. DSR 미적용 – 모두 미적용

DSR 안보는게 무슨 차이일까?

DTI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대출 이자 상환액) / 연간소득

4. 대출한도

기본적으로 디딤돌 대상이 된다면

원하는 만큼 받음 한도가 부족하다면

특례보금자리론이나 주택담보대출로 추가 대출 가능

ex) 디딤돌 채권최고액 110% 설정해서

차감하고 추가대출한도 확인.

LTV와 DTI동일 (70%, 60%), 생애최초 LTV 80%

디딤돌 생애최초는 주택도시기금 신청해야함

디딤돌은 대출한도가 조건별 다름 VS

특례보금자리론은 누구나 최대 한도 5억원

디딤돌 대출한도 조건별로 다르다.

신혼가구 4억원, 다자녀&2자녀가구 3.1억원,

 일반가구 2.5억원 (생애최초 3억원)

만 30세이상 미혼단독가구 1.5억원 (생애최초 2억원),

소액보증금이 디딤돌은 차감됨 (아파트 포함),

특례보금자리론은 차감 X (아파트의 경우)

5. 대출 기간

특례보금자리론은 10~50년 (10년 단위)

단, 40~50년은 조건이 있다.

40년 – 만 39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50년 – 만 34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은 10년, 15년, 20년, 30년

최장이 30년으로

특례보금자리론에 비해 짧은 편

비교적 원금분활상환 부담 높을 수 있다.

6. 대출금리

특례보금자리론

우대형 4.15%~4.45% , 일반형 4.25%~4.55%

우대금리 (최대 0.9%) 최대 우대금리 적용시 – 3.25%~3.55%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최저 3.25%~ 최고 4.55%로 형성되어 있다.

디딤돌

- 일반 디딤돌 금리 최저 1.5% ~ 최고 3%

- 생애최초, 신혼부부전용 최저 1.2% ~ 최고 2.7%

우대금리로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

청약 저축 가입시 0.1~0.2% 금리우대

(가입기간 1년이상 12회차 이상 납입한 경우 0.1우대)

(대출접수일로부터 6개월 이내 일괄납입한 경우 우대금리 인정대상 제외)

(민영주택 청약지역별 최소 예치금액 납입 후 1년 이상 0.1%우대)

(청약 금리우대는 대출기간 중 금리우대요건이

충족 또는 변경되거나 상실되더라도 변경 적용하지 않음)

위 우대금리는

일반, 생애최조 주택 구입 신혼부부 모두 해당됨

청약, 유자녀, 신규분양주택 우대금리 중복 적용 가능

- 다자녀 가구 0.7%, 연소득 6천이하

한부모 가구 0.5%, 2자녀 가구 0.5%, 1자녀 가구 0.3%,

다문화가구, 장애인 가구,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신혼가구(결혼예정자 포함) 0.2% 금리 우대 가능

(우대금리 중 택 1, 중복적용 불가하나

다자녀가구, 2자녀가구, 1자녀가구는

상기 타 우대금리와 중복적용 가능)

- 우대금리 적용 결과 대출금리가 최저금리 이하인 경우에는

최저금리 적용 (23년 신규대출접수 기준 현재 최저금리 1.5%)

이렇게 디딤돌 대출과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 비교해 봤다.

만약 디딤돌에 해당이 된다고 가정했을 때

금리만 생각한다면 디딤돌을 우선

받는 것을 추천한다.

부족 금액은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이나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해 추가 대출이 가능하니 말이다.

대출기간이 40년 50년까지 가능해서

원금분활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특례보금자리론도 생각해볼만 하니

각자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상품을 선택해

장기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

댓글()

2023년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청 및 지원내용

반응형

2023년을 맞아 정부는 청년 복지정책 예산을 확대하여 청년들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여러가지 방안을 내세워 추진 중이다.

그중에 오늘은 청년 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이 정책은 이미 2022년 7월을 전후해
한 차례 시행됐으며,
올해는 신청자를 더 모집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국회 예산 통과로 보건복지부 예산에 들어가 있다.



지난해 보다 편성예산이 늘어나 모집인원도
17.1만명 증가한 약 67만명으로 확대되었다.

#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대상

1) 일반신청대상
나이 : 만19~34세
소득 : 중위소득 100%이하
재산 : 대도시 3.5억원 이하
중소도시 2.0억원 이하
농어촌 : 1.7억원 이하

2)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나이 : 만 15세~39세
소득 : 중위소득 50%이하
재산 : (일반신청대상)동일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내용

청년 개인이 매달 10만원씩 내면 10만원을
균등하게 매칭해 정부가 3년 후에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다.

납입액 : 10만원/월
납입기간 : 3년

3년 만기의 경우 본인납입액은 360만원,
정부지원금은 360만원으로
총 720만원의 목돈을 만들수 있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의 경우
정부보조금이 30만원으로 확대되며,
3년 만기에 정부보조금 1,080만원에
360만원을 더해 총 1,440만원의 목돈이 마련된다.



#청년 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1) 본인 주민등록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2)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 2023년 일정 내용

2023년 국회 예산이 확정됐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나오지 않았다.

2022년 기준으로 7월에 3주 정도 신청을 받았는데
올해도 같은 방법으로 할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023년 6월 출시를 앞두고 있는
청년도약계좌와 비슷한 시기가 될 것으로 보여
청년들이 어떤 상품을 좋아하고 신청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청요건을 갖춘 청년들은 꼭 신청하여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